top of page

혜자 도시락은 왜 돌아왔나?





"혜자롭다" 는 말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바로 2014년 출시된 "혜자 도시락" 이 기원입니다. 당시에 가성비 좋은 구성으로 사랑받아서 이 도시락의 이름을 따 "혜자롭다" 는 말이 생겨난 것이죠. 이 도시락이 돌아왔습니다. 등심돈까스가 첫 주자라는 군요.


GS25가 2014년 고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은 혜자 도시락 ‘등심돈까스’ 를 재출시했습니다. 앞으로 혜자 도시락을 ‘혜자롭게 돌아온 시리즈’로 재단장해 선보일 계획입니다. 첫 주자인 등심돈까스 도시락은 2014년 혜자 도시락 ‘등심돈까스’로 첫 출시되었던 상품입니다. 출시 1달만에 40만개를 판매했던 히트 작품이죠. 방금 언급드린대로 추억의 도시락 단종템을 부활시켜 고객 마음을 사로잡겠다는 게 GS25의 계획이라는데요, 이 계획에서 알 수 있는 트렌드를 알아봅니다.






먼저 뉴트로라는 키워드를 봐야 할 듯 합니다. 혜자 도시락은 이미 출시되었던 제품이죠. 따라서 레트로에 해당합니다. 이 제품을 현 시점에서 재해석해 다시 출시했기 때문에 뉴트로가 되는 것이죠. 이렇듯 뉴트로는 레트로에 현 시점의 해석을 더하는 일을 말합니다. 보통은 재출시가 대부분 뉴트로에 해당하고, 패션이나 유통 업계에서 두루 활용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강점이 있는데요, 기업 입장에서는 다소 리스크를 줄이는 선택입니다. 보장된 과거가 있기 때문이죠. 어느 정도는 성적을 내줄 것이라는 확신이 있습니다. 그러니 아예 새로운 제품을 내놓는 것 보다 위험성이 덜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추억을 생각하며 반가운 마음을 가지기 쉽습니다. 어쩌면 기업과 소비자 모두 즐거운 트렌드가 아닐까 하네요. 혜자 도시락 역시 이런 관점에서 바라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다른 한가지는 가성비라는 단어입니다. 혜자도시락의 핵심은 가성비였고, 여전히 이 기조는 변하지 않은 듯 합니다. 최근 경제 상황과 맞물려 지속적으로 주목받을 수 밖에 없는 개념이 아닌가 싶기도 한데요, 그래서 많은 유통업계에서 가성비를 주목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가능한 범위내에서는 가성비라는 단어에 어울리는 접근을 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혜자도시락의 사례처럼 말이죠. 하지만 관심사에는 또 많은 소비가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가성비와 함꼐 기타 브랜딩에도 함께 신경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다양한 소비 스펙트럼을 생각해보면 좋을 겁니다.





앞으로도 이렇게 "귀환" 을 알리는 사례는 많을 것 같습니다. 뉴트로의 강점과 매력을 꼭 생각해 보셨으면 합니다


사진/GS25, 서울우유, 롯데네슬레코리아





 
 
 

コメント


뉴스 레터 구독

Thanks for submitting!

© 2023 by Sofia Franco.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